Reddit을 대신하는 서비스 중의 하나인 kbin이 한국에서도 잘 쓰일 수 있을까요?

최근 Reddit 사태를 겪으면서 ActivityPub 기반의 분산형 서비스인 lemmy와 kbin이 인기를 모으고 있는데 이런 서비스가 한국에서도 잘 쓰일 수 있을지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 부탁드립니다.

jarm,

잠깐 둘러봤는데 이런저런 장점과 단점이 있는 듯 합니다.

  1. URL에서 한글이 로마자로 치환되어 표시됩니다. 이 글의 URL도 "Redditeul-daesinhaneun-seobiseu-jung-ui-hanain-kbin-i-hangug-eseodo-jal-sseu-il-su-iss-eulkkayo"이 뒤에 달려 있죠. 물론 그 부분을 떼고 /m/kbinkorea/t/39550까지만 입력해도 문제 없이 들어와지기 때문에 오직 편의성을 위해 추가된 기능 같습니다. 이 점은 개인적으로 마음에 듭니다 (로마자로 변환하느냐 한글로 그대로 띄우냐는 취향 차이가 있겠지만요)

  2. 그렇지만 한국어로 포스팅을 할 수가 없습니다. UI상의 언어 뿐만 아니라 포스팅 할 때 언어 설정을 할 수 있는데 아직 동양권의 언어는 일본어밖에 없기에 지금 여기에서도 "영어"로 설정해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. 마스토돈엔 번역 기능이 있는데 한국어로 된 글인데도 불구하고 영어로 인식해서 번역 버튼이 뜹니다. 반대로 한국어를 모르는 영어권 사람들은 이 글에 번역 버튼이 뜨지 않겠죠.

  3. 다른 ActivityPub 서버와 통신할 때 HTTP 서명을 넣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. 마스토돈에선 Authorized_fetch 모드라고 부르는데, "지금 이 요청은 kbin.social에서 만든 요청이고 그 증거로 내 서명은 이렇고 공개키는 ~에 있어"라는 서명을 가진 HTTP 요청만 받아들이는 모드입니다. 대표적으로 Qdon.space가 이 모드를 활성화 해 뒀는데 그래서 큐돈에서 이 글에 답글을 달면 (큐돈 사용자의 공개키를 받아오지 못하므로) 여기서는 보이지 않습니다.
    ActivityPub에서 HTTP 서명은 꽤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이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kbin의 발전 가능성은 한정될 것으로 보입니다.

sftblw,

@chanjin 레딧을 사용하지 않아서 확답은 못 하겠는데, 저한테는 한국 레디터 자체가 그렇게 많지 않다... 라는 인식이 있습니다. 한국인 레딧 유저가 있더라도 영어로 영어 게시판에서 활동할거라고 생각해요.

FoW,
@FoW@netsphere.one avatar

그냥 외부 링크 같지만 댓글을 달면 kbin.social에 떠요.

FoW, (edited )
@FoW@netsphere.one avatar

참고할 수 있도록 사흘 전 글 남깁니다.
https://twitter.com/fofwisdom/status/1669877891700785153

FoW, (edited )
@FoW@netsphere.one avatar

글 수정 동기화도 잘 되네요.

chanjin, (edited )
chanjin avatar

kbin에서 쓴 답글 2

chanjin, (edited )
chanjin avatar

kbin에서 쓴 답글 1

  • All
  • Subscribed
  • Moderated
  • Favorites
  • kbinKorea
  • ngwrru68w68
  • rosin
  • GTA5RPClips
  • osvaldo12
  • love
  • Youngstown
  • slotface
  • khanakhh
  • everett
  • kavyap
  • mdbf
  • DreamBathrooms
  • thenastyranch
  • magazineikmin
  • megavids
  • InstantRegret
  • normalnudes
  • tacticalgear
  • cubers
  • ethstaker
  • modclub
  • cisconetworking
  • Durango
  • anitta
  • Leos
  • tester
  • provamag3
  • JUstTest
  • All magazines